맨위로가기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는 198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역도 종목이다. 총 10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루마니아는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1개로 종합 2위를 차지했고, 서독이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3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4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84년 하계 올림픽 요트
    1984년 하계 올림픽 요트 경기는 미국 롱비치에서 개최되었으며, 60개국 298명의 선수가 7개 종목에 참가했고, 윈드글라이더 종목은 남녀 모두를 위해, 여자 경기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여성 전용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1984년 하계 올림픽 양궁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양궁은 더블 FITA 라운드 방식으로 남자 개인전과 여자 개인전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과 대한민국이 각각 금메달을 획득했고 서향순이 여자 개인전 금메달을 획득하여 대한민국 양궁의 위상을 높였다.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역도 (1984)
역도 픽토그램
역도 픽토그램
개최지가스텐 파빌리온
날짜1984년 7월 29일 – 8월 8일
참가 선수186명
참가 국가48개국
이전 대회1980년
다음 대회1988년
세부 종목
남자52kg급
56kg급
60kg급
67.5kg급
75kg급
82.5kg급
90kg급
100kg급
110kg급
+110kg급

2.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중화인민공화국4206
2루마니아2518
3서독2013
4오스트레일리아1102
5이탈리아1001
6미국0112
7캐나다0101
8일본0033
9핀란드0022
10중화 타이베이0011
영국0011
합계10101030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메달 집계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금메달 4개, 은메달 2개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했다. 루마니아는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1개로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2위를 기록했다. 서독은 금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3위에 올랐다. 오스트레일리아이탈리아는 각각 금메달 1개씩을 획득했다.

2. 1. 메달리스트

–52 kg쩡궈창 (중화인민공화국)저우페이순 (중화인민공화국)마나베 가즈시토 (일본)밴텀급
52–56 kg우슈더 (중화인민공화국)라이 런밍 (중화인민공화국)고타카 마사히로 (일본)페더급
56–60 kg천웨이창 (중화인민공화국)게루 라두 (루마니아)차이원이 (중화 타이베이)라이트급
60–67.5 kg야오징위안 (중화인민공화국)안드레이 소카치 (루마니아)요니 그뢴만 (핀란드)미들급
67.5–75 kg카를하인츠 라트신스키 (서독)자크 데머스 (캐나다)드라거미르 치오로슬란 (루마니아)라이트헤비급
75–82.5 kg페트르 베체루 (루마니아)로버트 카바스 (오스트레일리아)이사오카 료지 (일본)미들헤비급
82.5–90 kg니쿠 블라드 (루마니아)페트르 드미트루 (루마니아)피터 머서 (영국)퍼스트헤비급
90–100 kg롤프 밀서 (서독)바실레 그로아파 (루마니아)페카 니에미 (핀란드)헤비급
100–110 kg노르베르토 오베르부르거 (이탈리아)스테판 타스나디 (루마니아)가이 칼턴 (미국)슈퍼헤비급
+110 kg딘 루킨 (오스트레일리아)마리오 마르티네스 (미국)만프레트 네를링거 (서독)


2. 1. 1. 플라이급 (–52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플라이급(–52 kg) 경기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쩡궈창이 금메달, 저우페이순이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일본의 마나베 가즈시토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 1. 2. 밴텀급 (52–56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밴텀급(52–56 kg) 경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우슈더가 금메달을, 같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라이 런밍이 은메달, 일본의 고타카 마사히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순위선수국가
우슈더중화인민공화국
라이 런밍중화인민공화국
고타카 마사히로일본


2. 1. 3. 페더급 (56–60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60kg급 경기는 56~60kg 선수들이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천웨이창이 금메달, 루마니아의 게루 라두가 은메달, 중화 타이베이의 차이원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순위이름국가
천웨이창중화인민공화국
게루 라두루마니아
차이원이중화 타이베이


2. 1. 4. 라이트급 (60–67.5 kg)

60–67.5 kg급 경기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야오징위안이 금메달을, 루마니아의 안드레이 소카치가 은메달, 핀란드의 요니 그뢴만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라이트급 (60-67.5 kg) 경기 결과[1]
순위선수국가
야오징위안중화인민공화국
안드레이 소카치루마니아
요니 그뢴만핀란드


2. 1. 5. 미들급 (67.5–75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75kg급 경기에서는 서독의 카를하인츠 라트신스키가 금메달을 획득했고, 캐나다의 자크 데머스가 은메달, 루마니아의 드라거미르 치오로슬란이 동메달을 획득했다.[1]

2. 1. 6. 라이트헤비급 (75–82.5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라이트헤비급(75–82.5 kg) 경기에서는 루마니아의 페트르 베체루가 금메달,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버트 카바스가 은메달, 일본의 이사오카 료지가 동메달을 획득했다.[1]

순위선수국가메달
1페트르 베체루
2로버트 카바스
3이사오카 료지


2. 1. 7. 미들헤비급 (82.5–90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82.5–90 kg급 (미들헤비급) 경기에서는 루마니아의 니쿠 블라드가 금메달, 페트르 드미트루가 은메달을 획득했고, 영국의 피터 머서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미들헤비급 메달리스트
순위선수국가
니쿠 블라드루마니아
페트르 드미트루루마니아
피터 머서영국


2. 1. 8. 퍼스트헤비급 (90–100 kg)

90-100kg급 경기에서는 서독의 롤프 밀서가 금메달을, 루마니아의 바실레 그로아파가 은메달, 핀란드의 페카 니에미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9. 헤비급 (100–110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남자 헤비급(100-110kg)에서는 노르베르토 오베르부르거 (이탈리아)가 금메달, 스테판 타스나디 (루마니아)가 은메달, 가이 칼턴 (미국)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2. 1. 10. 슈퍼헤비급 (+110 kg)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슈퍼헤비급 (+110 kg) 종목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딘 루킨이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미국의 마리오 마르티네스는 은메달, 서독만프레트 네를링거는 동메달을 차지했다.[1]

2. 2.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중화인민공화국4206
2루마니아2518
3서독2013
4오스트레일리아1102
5이탈리아1001
6미국0112
7캐나다0101
8일본0033
9핀란드0022
10중화 타이베이0011
영국0011
합계1010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